Problem Solving/BOJ [백준 7578번] [세그먼트 트리 / 스위핑] 공장 - 728x90 반응형 Approach Inversion counting임을 파악하고 병합정렬을 활용해서 풀어줄 수도 있다. 잘 생각해보면, B의 i번째 위치에 놓인 점에 의해 교차점이 발생하는 횟수는 자기보다 먼저 대응된 것 중에 자신보다 큰 것의 개수와 같다. 이렇게 되면, i번째 위치에 놓인 점의 이동 횟수를 구하는 시점에 자신보다 숫자가 큰 것의 개수만 구한 것과 B의 i ~ inf번째 위치에 놓인 것 중 대응된 것의 개수를 구하는 것이 동치가 된다. 예를 들어, a의 i번쨰 수가 B에 대응되는 index가 $b_{a_i}$라고 할 떄, 결과적으로 해당 선에 의해 교차점이 생기는 상황은 $b_{a_i}$부터 50000(inf) 위치 사이에 놓인 대응된 점의 개수와 동치이다. https://viyoung.tistory.com/393와 접근 방법이 거의 유사하다. [백준 2336번] [세그먼트 트리 / 스위핑] 굉장한 학생 Approach 상당히 재밌는 문제이다. 문제를 요약하자면, 3개의 시험에 대해서 모두 다 우월한 학생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. 일단 첫번째 시험을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을 viyoung.tistory.com 반응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비룡의 컴퓨터이야기 Contents 당신이 좋아할만한 콘텐츠 [백준 2820번] [Lazy propagation / Euler Tour] 자동차 공장 2022.03.17 [백준 1395번] [Lazy propagation] 스위치 2022.03.16 [백준 17353번] [Lazy propagation] 하늘에서 떨어지는 1, 2, ..., R-L+1개의 별 2022.03.14 [백준 14288번] [오일러 투어 테크닉 / Lazy propagation] 회사 문화 4 2022.03.12 댓글 0 + 이전 댓글 더보기